in 서비스/스타트업, 하드웨어

스타트업/소규모 회사 사무실 네트워크 구축하기(1)

처음 부터 LAN 공사가 깔끔하게 되어 있는 사무실에 입주하면 가장 좋겠지만, 한 푼이 아쉬운 스타트업의 경우엔 그러한 사무실을 찾기가 쉽지 않다. 네트워크 등 사내 인프라를 전담하는 인력을 두는 것도 스타트업에선 쉽지 않기 때문에, 보통은 개발자(그 중에서도 서버 개발자)가 사내 인프라 관리 업무를 겸하게 되기 마련이다.

나 역시, 그러한 경우인데 워낙 장비를 다루는 걸 좋아하고 소싯적 산업기능요원으로 근무할때 IDC와 서버실을 뻔질나게 드나들었기에 어느 정도 자신이 있었다. 하지만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장비가 늘어날 수록,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멤버들이 많아질 수록 단일 공유기 위주의 네트워크 구성은 효율성과 안정성의 측면에서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이 글은, PC/NAS/인터넷전화/무선 인터넷으로 구성된 사내 인터넷 환경을 구축하면서 얻은 교훈들을 스스로 정리하는 글이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선택

6인 미만의 멤버가 일하던 시절에는, LG U+의 가정용 인터넷/무선 인터넷 전화를 사용 하였으며 모든 멤버가 랩탑으로 업무를 보았기 때문에 공유기 하나에 모든 장비가 무선으로 연결되있는 어찌보면 깔끔한 환경이었다. 하지만, 업무의 효율성을 위하여 데스크탑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으며 무선 인터넷 전화기의 연결이 불안정하여 간헐적으로 전화 수신이 잘안되는 문제가 발생, 대안을 찾기 시작하였다.

좋든 싫든 서비스의 퀄리티를 위해서는 메이져 3사(KT, SK Broadband, LG U+)의 서비스를 검토할 수 밖에 없었는데, 의외로 중소형 규모의 기업을 위한 기업용 인터넷 전화/인터넷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는 곳이 별로 없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고려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 기가비트급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할 것 : 인터넷 기반의 사업을 하는 곳에선 그 업이 무엇이든 속도가 업무의 효율과 직결된다.
  • 기업용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 할 것 : 일명 키폰 기능 – 대표번호 종속(eg. 1644-XXXX번호와 070 번호를 연결 시켜 주는 것), 돌려주기/받기, 통화 연결음 기능 등
  • 장치 접속 수의 제한이 없을 것 : 우리나라 ISP들의 고질병, 인터넷 접속 대수 제한. 가정용 인터넷 서비스는 컴퓨터 수가 좀 만 늘어나도 접속 대수를 제한 하는데, 인원수가 유동적으로 늘어나는 스타트업에선 매우 불편하고 비용 비효율적이다.

위와 같은 관점에서 고려하였을 때 3사 중 가장 나은 옵션은 KT라고 판단되어 KT 기업용 서비스를 신청하였다.(KT Giga 인터넷: 기업용 기가 인터넷 / KT Biz Centrix : 기업용 인터넷 전화)

KT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얻은 노하우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 KT는 본사와 영업조직, 서비스조직이 모두 분리되어 있다 : 심지어 영업조직과 서비스조직은 KT소속이 아닌 제3사 하청 방식으로 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KT 기업용 대표전화로 서비스를 신청하면, 신청 지역의 전화국에서 해당지역 영업 업체의 영업 담당자를 지정해주며 그 담당자가 상담을 위해 방문 한다. 영업담당자를 통해 서비스를 신청하면, KT 서비스 하청 업체에 소속된 설치 직원이 방문하여 실제 설치 서비스를 해주는 식.
  • 기본료와 약정 : KT의 기업용 인터넷 전화의 기본료는 전화기 기기값을 포함하여 회선당 월 3천원 수준으로 저렴한 편이다. 다만 3년 약정을 걸어야 저렴해지므로, 약정기간이 작은 회사 입장에선 다소 부담이 되는 편이다.
  • KT 기가인터넷 속도 : KT의 기가인터넷 서비스는 콤팩트와 일반으로 나뉘는데, 콤팩트의 경우 0.5Gbps, 일반의 경우 1Gbps를 속도 상한으로 한다. 우리 회사의 경우 일반 서비스를 신청했는데, 실제로 1Gbps의 속도가 나오는 것은 아니며 NIA의 인터넷 속도 측정 서비스를 통해서는 대략 720Mbps~760Mbps(업로드의 경우 800Mbps~860Mbps)의 속도가 나온다.(서울 동작구) CDN을 통한 대용량 컨텐츠 다운로드 통한 최고 속도가 대략 85Mb/s 정도.

http://www.speedtest.net/ 을 통한 속도 측정 결과 샘플

http://www.speedtest.net/ 을 통한 속도 측정 결과 샘플

사내 장비의 선택

기가비트급 네트워크에 대한 구축은 여전히 비싸다. Google을 필두로 기가비트급 네트워크에 대한 공급과 수요가 늘고는 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네트워크 환경은 100Mbps급에 맞추어져있다. 공급과 수요가 충분치 않다는 것은 곧 장비의 가격이 높음을 의미한다. 기가비트급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서는 아래 세가지 포인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공유기
    • 공유기는 연결된 기기 들에 대해 사설 IP를 부여하고 내부의 기기간 트래픽, 외부 인터넷 망으로 통하는 트래픽을 중계 해주는 역할을 한다.
    • 기가비트급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공유기 역시 기가비트를 지원하여야 한다.
    • 공유기 자체의 하드웨어 성능
      • 연결된 장비가 많고, 많은 트래픽을 처리해야 할 수록 공유기의 성능이 중요하다. 연결되는 기기가 적다면 단지 가격이 저렴한 제품들을 구매해도 큰 문제가 없겠지만, 연결된 기기가 많을 수록 또 처리하는 트래픽이 커질 수록 공유기의 성능이 전체적인 네트워크 성능 병목이 되는 경우가 많다.
      • 사무실과 같이 연결되는 기기가 많은 환경에서는 내장된 CPU 성능이 좋고, 메모리 용량이 큰 10만원 이상의 고가형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 무선 신호의 품질
      • 랩탑, 스마트폰 등의 사용이 많다는 것을 고려하면 무선 인터넷 신호의 품질 역시 신경써야 할 부분이다.
      • 우선 2.4Ghz/5Ghz 듀얼밴드 대역을 지원하는 공유기를 고르는 것이 좋다. 요즘 우리나라(특히 서울)는 어딜가도 통신사 와이파이, 가정용 공유기의 와이파이 신호, 다른 사무실의 공유기 와이파이 신호 등 수많은 신호들이 한 장소에 중첩되어 있기 마련인데 이러한 신호들은 대부분 표준 와이파이 신호 대역인 2.4Ghz 이며 결과적으로 자신의 와이파이 신호 이외의 신호들이 노이즈로 작용하여 무선 인터넷의 품질을 현저히 떨어 뜨린다. 이에 반하여 5Ghz 대역의 경우 상대적으로 사용하는 주변 신호의 수가 적고 또한 도달 범위가 좁기 때문에(주파수가 높아 회절이 잘 안됨) 간섭이 덜 한 편이다.
      • 와이파이 빔포밍 기술에 대한 지원 : 공유기가 와이파이 빔포밍 기술을 지원 할 경우 비교적 원거리에서도 무선 신호의 품질이 유지되기 때문에 사무실이 넓고 사각지대가 많을 수록, 해당 기술의 지원 여부도 따져보는 것이 좋다.
    •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공유기 중 하나, D-Link 사의 DIR-868L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공유기 중 하나, D-Link 사의 DIR-868L

  • 스위칭 허브
    • 일반적인 공유기는 기본 제공 LAN 포트가 4~5개로 한정적이다. 따라서 그 이상의 장비들을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스위칭 허브라는 다른 장비가 필요하다.(공유기 밑에 공유기를 또 다시 연결하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네트워크 구성이 복잡해지고 공유기에 비해 스위칭 허브의 가격이 더 저렴함)
    • 공유기? 스위칭 허브?의 차이점 : 공유기는 라우터의 일종이고 스위칭허브는 라우터와는 다른 역할을 한다. 어떻게 다른지를 이해 하려면 OSI 7 계층 모델에 대해 이야기하여야 하지만, 다소 추상적이고 이해가 쉽지 않다. 스위칭 허브는  쉽게 설명하자면 공유기 밑에 스위칭 허브를 연결 할 경우 공유기의 포트 수를 확장해주는 역할을 한다. 스위칭 허브에 연결된 기기들은 모두 공유기에 직접 연결된 것과 동일하게 공유기에 의해 관리된다.
    • 스위칭 허브 역시 기가비트급 장비를 선택하여야 스위칭 허브에 연결된 모든 장비들이 기가비트급 속도로 통신이 가능하다.
  • LAN케이블
    • LAN케이블은 다 같은 LAN케이블이다라고 생각하여 아무 케이블이나 고른다면, 기가비트급 장비를 다 갖춰놓고도 케이블에서 병목을 발생 시키는 꼴이다.
    • 카테고리 : 랜케이블은 규격에 따라 cat 5, 5e, 6 등으로 나뉜다. cat은 category의 약자이며, 숫자가 높을 수록 각 전선간 간섭 현상을 줄여 속도가 빨라진다. cat5의 경우 100Mbps 급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규격이며,  1Gbps 급 네트워크를 위해서는 cat6 케이블을 선택하여야 한다.

 

이 글에서는 기업용 인터넷 전화/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ISP 선택과 기가비트급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장비 선택에 대해 주로 서술하였다. 다음 글에선 실제 사내 네트워크 구성이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지에 대해 서술할 예정이다.

 

정정 : 최초 작성 글에서는 cat5e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 1Gbps 네트워크 구성이 안된다고 서술 되어 있었는데, 이는 잘못이다. cat5가 1Gbps 환경에서 사용 불가능하며 cat5e는 1Gbps 급 통신이 가능하다. cat6의 경우 1Gbps/10Gbps 통신이 가능하다.